|
![](http://www.g-land153.co.kr/images/img_sub02_ti01.gif) |
![](http://www.g-land153.co.kr/images/img_sub02_ti02.gif) |
|
|
미생물의 종류 |
흙 1g당 수 (개) |
세 균 |
38,000,000 |
방 선 균 |
2,900,000 |
혐기성 세균 |
3,200,000 |
곰 팡 이 |
702,000 |
조 류 |
560 |
원 생 동 물 |
79 | | |
|
![](http://www.g-land153.co.kr/images/img_sub02_ti03.gif) |
|
미생물 |
논토양갈이흙 |
쟁기바닥 |
심토 |
밭토양갈이흙 |
호기성세균 |
3,200만 |
1,310만 |
837만 |
2,185만 |
방선균 |
220 |
8 |
38 |
477 |
사상균 |
8.4 |
1.6 |
0.6 |
23.1 |
질산화성균 |
1.1 |
- |
- |
7.1 |
혐기성세균 |
232만 |
112만 |
22만 |
147만 |
탈질세균 |
30 |
16 |
12 |
5 |
질산 환원균 |
8 |
2 |
1 |
0.0 | | |
|
토양 중의 미생물은 보통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현미경으로 확대했을 때 비로소 개개의 세포를 관찰할 수가 있는데 가끔 토양 중에 군데군데 하얗게 보이는 것은 토양미생물이 집단적으로 번식되어 있는 현상인 것이다.
토양 중에는 조류(藻類),사상균(絲狀菌), 방선균(放線菌), 박테리아(Bacteria), 곰팡이, 효모 (酵母)외에 바이러스 등 1천 여 종이 공생하고 있으며, 이중 900여종이 유효 미생물, 100여종이 유해 미생물로 분류되고 있다.
이들은 좋은 방향이든 나쁜 방향 이든 상호 영향을 끼치며 번식, 생존해 가면서 탄소, 질소, 각종 미네랄(미량원소)의 순환에 관여하며 고등식물의 뿌리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미생물의 번식 속도는 대단히 빨라서 우리가 잘 아는 유산균(乳酸菌)의 경우 세포 분열로 2배가 되는데 38분정도 걸리며, 24시간 후에는 1마리가 2천5백억 마리로 증식 된다. 따라서 토양 중에 식물의 뿌리생장에 유해한 미생물이 많이 증식 될 경우에는 그 악영향이 얼마나 크겠는가에 대해서 각별히 깊은 관심을 기울여야 되는 것이다.
식물의 뿌리는 지상의 엽경부(葉莖部)에 비교해서 조금도 손색이 없을 만큼 토양 중에 뻗어있으며, 토양의 공극을 따라 신장을 계속하면서 영양분을 흡수, 줄기와 잎의 생장에 기여하고 있다. 그 뿌리의 모세근 (毛細根) 주변에는 무수한 미생물이 생존하면서 생성과 사멸을 계속하고 있는데, 식물에 유용한 물질을 공급해 주는 유효 미생물이 근권 미생물(根圈微生物)로서 충분히 번식되어 있을 때에는 그 식물은 건전하게 생육되어 우리에게 다수확을 안겨주게 되는 것이다. 이들 유익한 미생물은 식물에게 중요한 아미노산, 저분자 핵산, 비타민, 호르몬 등 을 분비하여 식물의 뿌리에 직, 간접적으로 흡수시켜 다수확에 기여함과 동시에 수확물의 맛, 색택, 향기, 저장성 증대 등 품질향상과 양분 함량 증대에도 크게 공헌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반대로 뿌리 주변에 유해 미생물이 우세하게 되면 뿌리는 괴사(壞死) 하고 줄기와 잎이 말라 버림으로써 수확에 큰 피해를 보게 되는 것이다. |
|
|
계 |
단일종 |
토양 개량 |
Bacillus속, Clostridium속, Trichoderma속, Azotobacter속, Rhizobium속 등 |
병해 방제 |
Pseudomonas속, Bacillus속, Gliocladium속, Trichoderma속, 비병원성 Fusarium속, 비병원성 Erwinia속, Streptomyces속, Xanthomonas속, VA균근균, Azotobacter속, Verticillium속 등 |
유기물 분해 촉진 |
Streptomyces속, Pseudomonas속, Bacillus속, Clostridium속, Thermus속 등 |
양, 수분 흡수 촉진 |
VA균근균, Azotobacter속, Bacillus속, Rhizobium속, Trichoderma속, Candida속, Frankia속, Azospirillum속, Bradyrhizobium속 등 |
생육 촉진 |
광합성세균, 내열성방선균, Rhizoctonia속, Pseudomonas속 등 |
병해충 방제 |
Bacillus속, Pasteuria속 등 |
제 초 |
Epicoccosorus속, Dendryphiella속 등 | | |
|
![](http://www.g-land153.co.kr/images/img_sub02_ti04.gif) |
|
○ 유용한 토양미생물의 기능을 이용(유기물× )하여 토양의 작물 양분공급 등을 증대시키거나, 토양 중 작물양분의 유효도를 증진시킬 목적으로 토양에 가해지는 순수 배양된 특정 미생물제제 |
○ 토양 중에 사용되었을 경우 함유 미생물의 활성에 의하여 식물재배에 도움을 주는 자재 - 토양 미생물제제 비료는 토양에 시용하는 경우 특정함유 미생물의 기능 또는 미생물이 생성하는 효소에 의해서 작물재배에 효과를 나타내는 생물자재 - 함유성분량을 기준으로 하는 완성품인 일반비료와 달리 소비되는 순간까지 생명력이 유지되어 살아 있는 기능을 발휘하는 진행성 제품 ※ 생명이 없는 것은 미생물제제로서 가치가 없음 |
○ 미생물제제에 표시되어 있는 대부분의 내용은 애매하고 제품에 따라 표기 방법이 다르지만, 표시된 미생물제제 효과는 유기물분해촉진, 연작장해억제, 토양의 이화학성 개선, 토양미생물성개선, 작물의 생산성 향상, 작물의 품질향상, 오염물질 정화 등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