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무를 심은 후 뿌리의 활착 정도를 가장 크게 좌우하는 요소가 나무 심는 시기이다. 수종과 지역에 따라 약간씩 차이는 있지만 이른봄 얼었던땅이 풀리면 될 수 있는 대로 나무의 눈이 트기 전에 심는 것이 좋다. 나무를 심는 날은 흐리고 바람이 없는 날의 아침이나 저녁이 좋으며 공중습도가 높다면 더욱 이상적이다. 먼저 운반된 나무는 뿌리가 마르기전에 심는 것이 좋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거적이나 가마니를 뿌리에 덮고 건조되지 않도록 물을 뿌려 주도록 한다. 나무를 심을 때는 미리 구덩이를 파서 흙을 햇볕에 말려주면 살균되어 병충해 예방에 도움이 된다. 구덩이의 크기는 심을 나무뿌리가 퍼져있는 직경의 1.5배 이상으로 하고 우선 구덩이에 밑거름과 부드러운 겉 흙을 5∼6㎝정도 넣고 뿌리를 곧게 세운 다음 겉 흙과 속흙을 섞어 3분의 2정도 채운 후 나무를 약간 위로 잡아당기듯 하여 잘 밟아주고 물을 충분히 준 다음 나머지 흙을 채우고 수분증발을 막기 위하여 짚이나 나뭇잎을 덮어 준다. 이때 너무 깊이 심으면 뿌리 발육은 물론 가지를 잘 뻗지 못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물주기는 뿌리부분과 흙과의 공기층이 없도록 하기 위해 바닥층까지 포화상태에 이르도록 물을 흠뻑 주는 것이 나무의 활착에 좋다. 또한 건조하거나 바람이 강한 곳에서는 약간 깊게 심는 것이 안전하다. 큰 나무를 심을 때 구덩이는 심을 나무 분의 크기보다 크고 깊게 파야 하며, 척박한 토양의 경우는 비토를 넣고 배수가 불량한 경우는 모래와 자갈을 넣고 심는다.
또 구덩이는 살균제와 살충제로 소독하는 것이 좋으며, 나무를 넣을 때는 원래 심겨진 높이보다 약간 깊게 심고 이식 전 장소에서 향하던 방향에 맞추는 것이 좋다.
심은후의 관리는 큰나무는 지주목을 설치해주면 좋고 앵두, 살구, 감나무등 유실수묘목의 경우 지상에서 30∼50㎝정도 남기고 가지를 잘라주어 햇볕을 충분히 받을 수 있도록 해주면 수형 및 결실이 좋아진다. 비료는 심은 해 가을에 주어야 하며 산이나 정원에 심은 것은 산림용고형복합비료를, 화분에 심은 것은 1,2년이 지난 후에 분재용 비료를 화분위에 올려 놓으면 된다.
# 조경용 수목의 종류와 식재
|
▶권장수목 |
과일이 열리는 나무 : 감나무, 매화나무, 모과나무, 살구나무, 자두나무 등 |
꽃이 아름다운 나무 : 매화나무, 목련, 무궁화, 산수유, 살구나무, 벚나무류, 때죽나무, 이팝나무, 영산홍, 자산홍 |
단풍이 아름답게 드는 나무 : 복자기, 은행나무, 단풍나무류, 마가목, 감나무, 느티나무 등 |
그늘이 좋은 나무 : 느티나무, 목련, 벚나무류, 은행나무, 회화나무, 계수나무, 칠엽수, 팽나무 등 |
사철 푸른나무 : 소나무, 잣나무, 젓나무, 주목, 향나무 등 |
▶장소별 적합수종 |
위치 |
교목 |
관목 |
가로수 |
은행나무, 느티나무, 왕벚나무, 느릅나무, 이팝나무, 양버즘, 매타세콰이어, 가중나무, 칠엽수, 회화나무, 목백합 |
* |
주택, 공원, 학교 등 |
소나무, 반송, 작나무, 서어나무, 주엽나무, 당단풍, 염주나무, 느릅나무, 이팝나무, 충충나무, 졸참나무,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신갈나무, 측백나무, 팽나무, 때죽나무, 릅나무, 팥배나무, 복자기, 자귀나무, 산딸나무, 나무, 섬잣나무, 소사나무, 느티나무, 보리수, 감나무, 살구나무, 대추나무, 산수유, 복숭아, 주목, 단풍나무, 회화나무, 자두나무, 배롱나무, 가이즈까향, 홍단풍, 백목련, 자목련, 낙우송, 매타세콰이어, 계수나무, 스트로브잣, 꽃나무, 모과나무, 칠엽수, 목백합 |
무궁화, 진달래, 개나리, 눈향, 매자나무, 고광나무, 발도리나무, 까마귀밥나무, 조팝나무, 병아리꽃나무, 옥향, 작살나무, 명자나무, 딱총나무, 가막살나무, 병꽃나무, 초나무, 노린재, 수국, 작살나무, 회양목, 철쭉, 화살나무, 국수나무, 찔레, 으름덩굴, 담쟁이덩굴, 인동덩굴, 다래나무, 수수꽃다리, 황매화, 덩굴장미, 장미, 옥매, 박태기나무, 낙상홍, 모란 |
한강변, 지천변 |
능수버들, 수양버들, 수양벚나무, 회화나무, 낙우송, 메타세콰이어 |
무궁화, 개나리, 회양목, 매자나무, 병꽃나무, 명자나무, 철쭉, 수수꽃다리, 박태기나무 |
공장, 도로변 |
은행나무, 산수유, 자작나무, 목련, 때죽나무, 상수리나무, 졸참나무, 느릅나무, 양버즘, 목백합, 은단풍, 가중나무, 스트로브잣, 칠엽수, 메타세콰이어, 홍단풍 |
무궁화, 개나리, 광나무, 흰말채나무, 병꽃나무, 회양목, 매자나무, 둥근향, 화살나무, 명자나무, 수수꽃다리, 낙상홍, 덩굴장미 |
▶환경정화수종 |
구분 |
공장, 도로변과 같이 오염농도가 높은 곳 |
주택가 등 오염정도가 심하지 않은 곳 |
교목 |
은행나무, 목백합, 양버즘나무, 은단풍나무, 가중나무, 상수리나무, 졸참나무, 참느릅나무 (8종) |
느티나무, 팽나무, 오동나무, 배롱나무, 밤나무, 백목련, 벚나무, 서어나무, 칠엽수, 회하나무, 감나무, 때죽나무, 층층나무, 자두나무(14종) |
관목 |
무궁화, 개나리, 낙상홍, 수수꽃다리, 산수유(5종) |
매화나무(매실나무), 박태기, 자목련(3종) |
▶공해에 강한 수종 |
SO2 |
가중나무, 떡갈나무, 물푸레나무, 상수리나무, 아카시, 졸참나무, 주엽나무, 산오리나무, 회화나무, 자귀나무, 층층나무, 누리장, 쥐똥나무, 멀구슬나무 |
CO |
은행나무, 참느릅나무, 가중나무, 물푸레나무, 자작나무, 층층나무, 산사나무, 병꽃나무, 개나리, 중국단풍, 매자나무, 버드나무류 |
▶나무 고르기 |
묘목은 잔뿌리가 많고 가지가 사방으로 고루 뻗어 있으며 눈이 큰 것이 좋으며 병충해 피해가 없고 묘목에 상처가 없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
꽃나무의 경우 꽃봉오리가 굵으면서 봉오리수가 적게 달린 것이 병충해에 강하고 꽃도 왕성하게 필 수 있다. |
상록수는 잎이 짙푸른 것이 영양상태가 좋은 것이며, 너무 웃자라거나 안 자란 것보다는 적당한 크기에 매끈하게 자란 것이 건강한 묘목이며 가지에 흠집이 있는 것은 병충해 피해를 입은 것이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
접목묘의 경우는 접목부위를 흔들어 보아 단단하게 고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넓게 퍼져 있고 잔뿌리가 많은 것을 구입해야 옮겨 심어도 잘 자란다. |
▶나무 심기 |
운반된 나무는 뿌리가 마르기 전에 심는 것이 좋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 거적이나 가마니를 뿌리에 덮고 건조되지 않도록 물을 뿌려 주도록 한다. |
구덩이의 크기는 심을 나무가 퍼져 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직경의 1.5배 이상으로 하고, 우선 구덩이에 밑거름과 부드러운 겉흙을 5~6cm정도 넣고 뿌리를 곧게 세운 다음 겉흙과 속흙을 섞어 2/3정보 채운 후 나무를 잡아당기듯 하여 잘 밟아주고 물을 충분히 준 다음 나머지 흙을 채우고 수분증발을 막기 위하여 짚이나 나뭇잎을 덮어준다. |
나무를 너무 깊게 심으면 뿌리발육은 물론 가지가 잘 뻗지 않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
▶나무 관리 |
나무의 크기(1.5~2.0m 이상)에 따라 지주목을 설치해 준다. |
앵두, 살구, 감나무 등 유실수의 어린 묘목은 지상에서 30~50cm 정도 남기고 가지와 줄기를 잘라준다(햇볕을 충분히 받으면 결실이 좋아짐) |
비료는 심은 해에도 주지 않으며 심은 다음해부터 산림용 고형 복합비료를 가지의 끝부분에 5cm 깊이로 사방에 1~2개씩 묻어둔다. (줄기와 너무 가깝지 않도록 할 것) |
너무 가물시 물을 주되 너무 자주 주는 것보다 한번줄 때 충분히 준다. |
늦가을에 줄기감기나 뿌리덮기를 해서 수분증발과 건조를 막고 추위에 견딜 수 있도록 한다 |
|